글번호
890118

각 연구실의 졸업 논문조 과업에 대한 회신 결과 정리 (기한 7월 18일 목)

분류
학부
작성일
2024.07.12
수정일
2024.07.23
작성자
김선경
조회수
835


연구실 소개의 순서는 취합된 순서입니다.



정석희 (환경에너지융합연구실)


졸업논문을 위해 본 연구실에 지원한 학생은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1. 본 연구실에서 수행 중인 미생물 전기화학 시스템 혹은 환경공학 관련 실험 연구  

https://sites.google.com/site/sokheejung/s-p-jung?authuser=0

2. 에너지시스템설계 과목 프로젝트의 심화 및 확장 연구 

https://sites.google.com/site/sokheejung/lectures/energy-system-design/esd-publications?authuser=0

3. 그 외 환경 및 에너지 관련 주제에 대한 조사 연구

https://sites.google.com/site/sokheejung/publications-1/technical-reports?authuser=0


본 연구실은 졸업논문 주제에 있어 학생들의 관심과 선택을 최우선으로 존중합니다. 

'실험 연구'는 실험이나 대학원 진학에 관심이 있어 필히 실험을 수행하고 싶은 경우에만 진행하기 바랍니다.



김성준 (환경생물공학실험실)


1. 환경중 배출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의약품 포함)의 독성 및 위해성 평가

- 먹이사슬 3단계 생물을 이용하여 노출 독성평가 실시

- E(L)C50, NOEC, PNEC 도출

- PEC 예측 값 적용하여 유해지수 산정

- 위해성 평가 및 관리

2. 유해화학물질의 전주기 유해성 평가

- 생태계에서의 전주기 분해 메카니즘 분석

- 특히 초기 분해속도가 빠른 농약류의 1차 분해 산물에 대해 중점 검토

- 분해 과정의 주요 중간물질에 대한 유해성 조사

3. 화학물질 관리 관련 제도 및 법규 비교연구



박정훈 (환경 분석 및 자원화 연구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음과 같이 환경 오염물질 분석과 유기성 및 무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1. 물질 분석 분야에서 유기오염물질 과 무기오염물질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을 진행

2. 유기성 폐기물 (펄프산업 부산물 등)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바이오오일 생성연구

3. 무기성 폐기물 (폐배터리 등)에 존재하는 유가금속을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을 회수

4. 오염물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실험 및 모델을 통하여 파악하고, 오염물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여 자연을 복구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개발

즉, 유기오염물 (PAHs, 유류, 농약류, PCBs)의 토양에의 흡착 kinetics, 토양/물/공기에서의 분배계수, 탈착 mechanism 등에 관한 지식을 실험과 모델을 통하여 획득하고, 오염물의 토양 내 분포를 파악하여 오염물과 토양의 특성에 맞는 처리방법 개발



이보름 (지속가능에너지및환경기술연구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관련 Policy-Engineering Nexus로,

1. 수소/암모니아/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에 관한 기술 경제성 및 환경성 분석 수행

2. Direct air capture 기술 관련 조사 연구

3. RE100,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 (CSRD),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과 같은 환경 관련 정책 및 제도에 필요한 전과정평가 (환경성평가) 연구



홍진경 (미생물 시스템 및 생태학 연구실


본 연구실(Microbial Systems and Ecology Laboratory)은 다양한 환경 시스템 및 생태계를 탐색하고, 그 기능적 지속성 및 건전성 유지에 있어서 환경 미생물 군집의 역할을 구명합니다. 더불어 얻어진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환경 기술에의 적용 및 기술 발전에 대한 기여 방안을 모색합니다.


졸업논문을 위해 본 연구실에서 제공할 수 있는 연구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각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특정 환경 시스템(예: 토양, 해양, 지하수, 대기 등)을 선택하고 해당 생태계를 탐구합니다.

2.   선택한 환경 시스템 내에서 미생물 군집의 구조와 네트워크를 조사합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미생물 종 간의 상호작용, 미생물 군집의 기능적 역할, 그리고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이 포함됩니다.

3.   조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생물 군집이 해당 생태계의 기능적 지속성 및 건전성 유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을 제시합니다.




정호영 (환경에너지재료 연구실) 


다양한 에너지 디바이스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수전해, 이차전지 등의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료전지 분야는 일체형 재생연료전지 기술로 충방전 개념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해당 기술 개발 분야에서 대형 연구 사업과 기술 리더쉽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수전해 분야는 3세대 수전해 시스템인 AEM 수전해 기술 개발에 대해 산자부 사업 총괄 수행을 통해 2.4kW급 시스템 실증을 수행하면서 해당 분야의 기술 리더쉽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PbC 기반 배터리 커패시터 기술에 대한 산기평 사업 수행을 통해 제품화에 이르고 있습니다.

더하여, 상기 다양한 에너지 디바이스 기술에 도입되는 핵심 구성 부품과 차세대 복합 소재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PPO를 기반으로 하는 탄화수소계 및 PFSA를 기반으로 하는 불소계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막과 이를 함침한 강화복합막 기술 개발을 수행중입니다. 또한, 수전해 분야에서는 불소계 음이온 전도성 유무기 복합막과 강화막 제조 기술 개발을 수행중입니다.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카본의 에지를 제어한 전극활물질 개발과 고함침 특성이 있는 분리막 소재 기술 개발을 수행중입니다.

상기의 다양한 핵심 소재 기술 개발은 연료전지, 수전해, 이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단가를 저감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기술의 연구는 미래 에너지 저장체계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는 신기술로 중점 연구중입니다.






[이외의 연구실은 추후 취합되는데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