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prof,fnctNo=455 박정훈 (Park, Jeong-Hun ) 직위(직급) 교수 연구실 공대 3A-208 교수전공 및 연구분야 환경 분석 및 재활용 연락처 062-530-1855 이메일 Parkjeo1@jnu.ac.kr 홈페이지 - 교수소개 ○ 학력 사항 1996. 08 - 2000. 08 Michigan State University, 공학박사, 환경공학 ○ 주요 경력 사항 2016. 03 - 현 재 BK21 plus 및 4단계 BK21 사업, 팀장 (친환경소재 및 신재생에너지 공정개발팀, 미세 오염물질 관리 환경에너지 융합 교육연구팀) 2003. 08 - 현 재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2007. 09 - 현 재 전남대학교토양기술연구소 소장 2006. 10 - 현 재 토양환경기술사 2001. 09 - 현 재 환경공학 기술사(미국) 2000. 08 - 2003. 08 Michigan State University, Research Associate 1997. 01 - 2000. 08 Michigan State University, Research Assistant 1989. 02 - 1996. 06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 연구관심 분야 - 폐배터리 및 무기성 폐기물로 부터 유가금속 회수,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오일화 및 자원화 - 오염 물질 분석: 유기오염물질(유류 등) 과 무기오염물질(중금속 등)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 -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토양오염복원 - 아임계수를 이용한 폐기물 에너지화 및 토양복원 - 폐기물 자원화, 에너지화 연구분야 ○ 연구실 소개 - 이름: 환경 분석 및 재활용 연구실 - 연락처: 530-3888 -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에서는 다음과 같이 환경 오염물질 분석과 유기성 및 무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물질 분석 분야에서 유기오염물질 과 무기오염물질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을 진행, 유기성 폐기물 (펄프산업 부산물 등)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바이오오일 생성연구, 무기성 폐기물 (폐배터리 등)에 존재하는 유가금속을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을 회수, 오염물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실험 및 모델을 통하여 파악하고, 오염물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여 자연을 복구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개발, 즉, 유기오염물 (PAHs, 유류, 농약류, PCBs)의 토양에의 흡착 kinetics, 토양/물/공기에서의 분배계수, 탈착 mechanism 등에 관한 지식을 실험과 모델을 통하여 획득하고, 오염물의 토양 내 분포를 파악하여 오염물과 토양의 특성에 맞는 처리방법 개발 ☆ 폐기물 자원화: 무기성 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리튬, 코발트, 니켈 등) 회수,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오일 생성 ☆ 오염 물질 분석: 유기오염물질(유류 등) 과 무기오염물질(중금속 등)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 ☆ 토양 및 지하수 복원: 유류 및 농약류의 생분해, 유기오염물의 흡착과 탈착 ☆ 모델링: 유기오염물 분해율 예측, 탈착 모델 개발, 토양복원 기간 예측 ○ 연구분야 ☆ 폐기물 처리, 자원화 및 에너지화 ◎ 무기성(폐전지 등) 폐기물로 부터 유가금속(리튬, 코발트, 니켈 등) 회수 ◎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 ◎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바이오오일 생성 ☆ 오염물질 분석, 토양 및 지하수 복원 ◎ 환경 오염물질 분석-무기오염물, 유기오염물 분석 ◎ 토양 및 퇴적물 오염조사/정화/복원 ◎ PAHs 오염물의 흡착과 탈착 ◎ 토양 Bioremediation, Phytoremediation ☆ 모델링 ◎ 유기오염물 분해율 예측 ◎ 탈착 모델 개발 ◎ 토양 복원 기간 예측 석사, 박사, 석박통합과정생 모집 대학원과정생 공고 (환경 분석 및 자원화 실험실) 환경에너지 공학과(전남대학교, 광주소재) 환경 분석 및 재활용 실험실에서 석-박사 과정을 모집합니다. 관심있는 분은 다음 연락처로 연락하여 상담하기 바랍니다. 전화: 062-530-1855 1. 지원 자격 - 대학 또는 대학원 졸업(예정)자 - 전공: 환경에너지공학, 농화학 및 화학, 화학공학, 자원공학, 지질학 등 환경관련 전공자. 2. 연구 내용 - 환경 오염물질 분석-무기오염물, 유기오염물 분석 - 폐기물 자원화, 재활용-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 바이오오일 생성, 무기성(폐전지) 폐기물 유가금속(리튬, 코발트, 니켈 등) 회수 - 토양 및 퇴적물 오염조사/정화/복원 - 기타 토양 환경보전관련 연구 - 관련 연구기관들: 보건환경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산업기술원, 환경부, 한국연구재단, 중소기업청 3. 연구 보조금 - 입학전 연구 참여시: 월 80만원 - 석사과정: 월 90만원 이상 - 박사과정: 월 130만원 이상 논문 발표 또는 게재 시 인센티브 있음. 주요 연구 실적-논문 ○ 논문 ---------------------------↓2024-------------------------------------------------------- 1. Md Ishtiaq Hossain Khan, Masud Rana, Young-Tae Jo, Jeong-Hun Park (2024) Ultrasound-assisted efficient and convenient method of extracting valuable metals(Ni, Co, and Cd) from waste Ni-Cd batteries using DL-malic acid,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66, 121706 2. Hyeon Yang, Young-Tae Jo, Jihyo Chong, Yonggwan Won, Jeong-Hun Park (2024) Comparison of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LIBS) and ICP analysis results for measuring Pb and Zn in soil, CSIRO PUBLISHING, 62(3) 3. Theoneste Nshizirungu, Masud Rana, Young Tae Jo, Eugenie Uwiragiye, Jaepil Kim, Jeong-Hun Park (2024) Ultrasound-assisted sustainable recycling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ion batteries via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12(2), 112371 ---------------------------↓2023-------------------------------------------------------- 4. 이보배, 조영태, 박정훈 (2023) 토양 위해성평가 지침에서 피부흡수발암계수 및 비산먼지농도 인자 개선, 지하수토양환경, 28(6), 33-44 5. 반민정, 신상욱, 이동훈, 김정규, 이호식, 김영, 박정훈, 이순화, 김선영, 강주현 (2023) 기계학습 분류모델을 이용한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식별, 한국습지학회, 25(4), 306-314 6. Masud Rana, Shubho Ghosh, Theoneste Nshizirungu and Jeong-Hun Park (2023) Catalytic depolymerization of Kraft lignin to high yield alkylated-phenols over CoMo/SBA-15 catalyst in supercritical ethanol, RSC Advances, 13(43), 30022-30039 7. 봉재은, 조영태, 이보배, 박정훈 (2023) 산업부산물 특성을 활용한 토양개량제의 적절한 혼합량 도출 및 작물생육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45(4), 181-189 8. Theoneste Nshizirungu, Masud Rana, Md Ishtiaq Hossain Khan, Young Tae Jo, Jeong-Hun Park (2023) Innovative green approach for recovering Co2O3 nanoparticles and Li2CO3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Advances, 9, 100242 9. Theoneste Nshizirungu, Masud Rana, Md Ishtiaq Hossain Khan, Young Tae Jo, Seong-Jae Park, Jeong-Hun Park (2023),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11(1), 109160 10. Masud Rana, Md Ishtiaq Hossain Khan, Theoneste Nshizirungu, Young-Tae Jo, Jeong-Hun Park (2023) Green and sustainable route for the efficient leaching and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Ni-Cd batterie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55, 140626 ---------------------------↓2022-------------------------------------------------------- 11. 봉재은, 신동, 조영태, 박정훈 (2022) 탈황공정석고 및 재생황산을 배합한 레드머드의 농업적 이용가능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학회지, 44(3), 55-63 12. Md Ishtiaq Hossain Khan, Masud Rana, Theoneste Nshizirungu, Young Tae Jo, and Jeong-Hun park (2022) Recovery of Valuable and Hazardous Metals (Ni, Co, and Cd) from Spent Ni-Cd Batteries Using Polyvinyl Chloride (PVC) in Subcritical Water,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2368-2379 13. Masud Rana, Theoneste Nshizirungu and Jeong-Hun Park (2022) Effect of simultaneous use of microwave and ultrasound irradiation on the sulfuric acid hydrolysis lignin (SAHL) depolymerization, Sustainable Energy & Fuels, 861-878 14. 윤상훈, 이우진, 임민화, 정연재, 박미애, 전홍대, 박병훈, 서광엽, 배석진, 박정훈 (2022) 광주지역 토양오염우려지역의 PAHs 농도 특성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7(2), 50-60 ---------------------------↓2021-------------------------------------------------------- 15. 권범근, 고재준, 박정훈 (2021) 스타이렌 올리고머를 이용한 제주도 모래 해변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의 정성적 평가, 대한환경공학학회지, 700-708 16. Masud Rana, Theoneste Nshizirungu, Jeong-Hun Park (2021) Synergistic effect of water-ethanol-formic acid for the depolymerization of industrial waste (black liquor) lignin to phenolic monomers, BIOMASS & BIOENERGY, 106204-###### 17. Deok Hyun Moon, Yoon-Young Chang, Minho Lee, Agameneen Koutsospyros, Il-Ha Koh, Won Hyun Ji, Jeong-Hun Park (2021) Assessment of soil washing for heavy metal contaminated paddy soil using FeCl3 washing solutions,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343-3350 18. Theoneste Nshizirungu , Masud Rana , Young Tae Jo, Jeong-Hun Park (2021) Recycling of NCM cathode material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via polyvinyl chloride and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in subcritical water: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25575-######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assisted leaching of lithium and cobalt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in subcritical water 19. 신동, 박성재, 조영태, 봉재은, 박정훈 (2021)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토양 자연배경농도에 대한 위해성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37-49 20. Ashutosh Agarwal , Young-Tae Jo , Jeong-Hun Park (2021) Hybrid microwave-ultrasound assisted catalyst-free depolymerization of Kraft lignin to bio-oil,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113300-###### ---------------------------↓2020-------------------------------------------------------- 21. Theoneste Nshizirungu, Masud Rana, Young-Tae Jo, Jeong-Hun Park (2020) Rapid leaching and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ies (LIBs) via environmentally benign subcritical nickel-containing water over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22667-###### 22. Theoneste Nshizirungu, Ashutosh Agarwal, Young Tae Jo, Masud Rana, Dong Shin, Jeong-Hun Park (2020)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assisted leaching of lithium and cobalt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in subcritical wate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22367-###### 23. Ashutosh Agarwal, Seong-Jae Park, Jeong-Hun Park (2020) Catalytic upgrading of Kraft lignin derived bio-oil in supercritical ethanol over different crystal size hierarchical nano-HZSM5, FUEL, 117690-###### 24. 박성훈, 김준 조영태, 신동, 테오네스테, 문덕현, 지원현, 고주인, 박정훈 (2020) 비소 및 수은 등으로 복합오염된 폐 광산 주변 토양 위해성평가, 대한환경공학학회지, 75-87 ---------------------------↓2019-------------------------------------------------------- 25. Ashutosh Agarwal, Seong-Jae Park, and Jeong-Hun Park (2019) Upgrading of Kraft Lignin-Derived Bio-Oil over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cal Ni and/or Zn/HZSM5 Catalysts, Industrial & Enigneering Chemistry Research, 58, 22791-22803 26. 박성재, Masud Rana, 신동, 박정훈 (2019) 열수액화공정에서 레드머드 촉매를 이용한 리그닌 분해, 대한환경공학회, 41(3), 132-139 27. Masud Rana, Golam Taki, Mohammad Nazrul Islam, Ashutosh Agarwal, Young-Tae Jo, Jeong-Hun Park (2019)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t Catalysts on Depolymerization of Kraft Lignin to Aromatic Phenolic Compounds, Energy & Fuels, 33, 6390-6404 28. 신동, 조영태, 박성재, 박정훈 (2019) 산성토양 개량을 위한 레드머드 및 바이오차의 적용과 이화학적 특성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41(9), 483-493 29. Bonyoung Koo, Seung-Mok Lee, Sang-Eun Oh, Eun Jung Kim, Yuhoon Hwang, Dongjune Seo, Jin Young Kim, Yung Ho Kahng, Yong Woon Lee, Seon-Yong Chung, Seong-Jun Kim, Jeong Hun Park (2019) Sokhee P. Jung, Addi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 to an activated-carbon cathode increases electrical power generation of a microbial fuel cell by enhancing cathodic performance, Electrochimica Acta, 297, 613-622 30. Mohammad Nazrul Islam, Young-Tae Jo, Yeon-Jae Jeong & Jeong-Hun Park (2019) Remediation approach for organic compounds and arsenic co-contaminated soil using the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Environmental Technology, 40(1), 125-131. ----------------------------↓ 2 0 1 8-------------------------------------------------------- 31. Ashutosh Agarwal, Masud Rana, Jeong-Hun Park (2018) Advancement in technologies for the depolymerization of lignin, Fuel Processing Technology, 181, 115–132 32. Masud Rana, Mohammad Nazrul Islam, Ashutosh Agarwal, Golam Taki, Seong-Jae Park, Shin Dong, Young-Tae Jo, Jeong-Hun Park (2018) Production of Phenol-Rich Monomers from Kraft Lignin Hydrothermolysates in Basic-Subcritical Water over MoO3/SBA-15 Catalyst, Energy Fuel, 32, 11564-11575 33. 김준, 박성재, 신동, 문덕현, 김용규, 유병철, 박정훈 (2018) 보크사이트 부산물 기반 토양개량제의 산성토양 중화 및 상추 생육 적용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40(6), 258-266 34. Golam Taki, Mohammad Nazrul Islam, Seong-Jae Park, Jeong-Hun Park (2018) Optimiz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to remove and recover crude oil from contaminated soil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process,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23(2), 175-180 35. Deok Hyun Moon, Inseong Hwang, Agamemnon Koutsospyros, Kyung Hoon Cheong, Yong Sik Ok, Won Hyun Ji, Jeong-Hun Park (2018) Stabilization of lead (Pb) and zinc (Zn) in contaminated rice paddy soil using starfish: A preliminary study, Chemosphere, 199, 459-467 36. Mohammad Nazrul Islam, Young‑Tae Jo, Seon‑Yong Chung, Jeong‑Hun Park (2018) Assessment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chool Playground Soils in Urban Gwangju, South Korea,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74(3), 431-441 37. Mohammad Nazrul Islam, Golam Taki, Masud Rana, Jeong-Hun Park (2018) Yield of Phenolic Monomers from Lignin Hydrothermolysis in Subcritical Water System,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7, 4779-4784 38. Mohammad Nazrul Islam, Golam Taki, Yeon-Jae Jung, Sun-Kook Jung, Jeong-Hun Park (2018) Remediation of Gulf War Oil Spill Contaminated Soil by a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Process: Oil Removal, Recovery, and Degradation, Soil and Sediment Contamin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27(2), 1-11 39. Mohammad Nazrul Islam, Jeong-Hun Park (2018) A short review on hydrothermal liquefaction of livestock manure and a chance for Korea to advance swine manure to bio-oil technology,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0, 1-9 주요 연구 실적-특허 ○ 특허 등 ☆ APPARATUS AND PURIFYING CONTAMINATED SOIL AND RECOVERY OILS USING SUBCRITICAL WATER (출원번호 PA 170/2015, 쿠웨이트, 2015.09.27) ☆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 및 유류회수장치 (출원번호 10-2015-0103610, 대한민국, 2015.07.22) ☆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장치 (10-1339775, 대한민국, 2013.12.11)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USING SUBCRITICAL WATER (PCT-KR2011-008822, 국제우선권PCT, 2013.11.08.) ☆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 방법 (10-1276118, 대한민국, 2013.06.12) ☆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 장치 (10-1038686, 대한민국, 2011.05.27) ☆ 스팀과 미생물 복합공정을 통한 유류오염토양의 정화방법 (10-0873053, 대한민국, 2008.12.03.) ☆ 스팀과 미생물 복합공정을 통한 유류오염토양의 정화장치 (10-0873050, 대한민국, 2008.12.03.) ☆ 휘발성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복합균주 (10-0873054, 대한민국, 2008.12.03.) ☆ 초단파와 미생물 처리를 통한 오염 토양 정화방법 (10-07965530, 대한민국, 2008.01.24.) ☆ 극초단파와 미생물 처리를 통한 오염 토양 정화방법 및 오염 토양 정화시스템 (10-0750596, 대한민국, 2007.08.13.) ☆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능을 가진 균주 (10-0679420, 대한민국, 2007.01.31.)